본문 바로가기

전체302

Dinah Washington x Max Richter, "This Bitter Earth" 다이너 워싱턴은 1963년에 죽었다. 그러나 2010년 막스 리히터의 "On the Nature of Daylight"에 목소리가 덧붙여지며 다시 살아났다. 마틴 스콜시지 감독의 [셔터 아일랜드]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곡이다. [셔터 아일랜드]는 21세기 초반에 나온 작품이지만 19세기 초 낭만주의의 기운에 휩싸여있다. 영화 내에서 묘사되는 어느것 하나도 중립적 의미에서 객관적이라 할 수 있는 게 없다. 카메라의 시선이 비추는 사물 하나하나, 인물 하나하나가 낭만적 주관의 심연에 맞닿아있다. 고립된 섬 내 정신병동, 그 와중에 폭풍이 몰려와 선편과 통신마저 끊기게 된 곳, 그 안의 자연과 인간 모두가, 한때 데카르트와 뉴턴에 의해 수학화되었던, 보편적 중력의 법칙에 갇혔던 것들이 요동치기 시작한다. 제.. 2022. 12. 28.
베토벤, 셰익스피어, 미적 형식 음악의 진가를 알고 싶다면 현실의 너절함에 노출된 후 음악을 들어야한다. 미디어의 자극적인 언어를 통해 들려오는 세상사,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이 결여된 저널리즘적 글쓰기, 제목 장사 기사들, 오로지 기업의 입장에서 쓰여진 광고와 다를 바 없는 경제지 기사들, 다음이나 네이버 같은 포털에 의해 편집된 여행사 및 항공사 실적을 올리기 위해 쓰여진 여행 관련 기사들, '웨이팅'이 폭발한다는, 혹은 '개미지옥' 식당에 관한 선정적 포스트들, 항상 이미 당신만큼은 놓치고 있다는 엄청난 맛의 음식을 자랑하는 식당, 혹은 다른 곳에는 없고 오직 여기에만 있다는 음식에 관한 포스트들, 이런 것들을 대하고 있으면 세상은 흥분 상태에 있지 않고서는 존재할 수 없는 것 같이 보인다. 세상의 모든 것들이, 먼지 하나조차, .. 2022. 12. 21.
발라드와 록, 그리고 이승환 이승환의 "천일동안"은 '멜로드라마적'인 감수성을 지닌 곡이다. 가혹하게 말하면 '질질짜는' 느낌의 가사를 지니고 있다. 창법도 깨나 감상적이다. 소위 '착한 사랑'으로 대변되는 1990년대 초반 '발라드' 감수성의 정점을 보여준다. (또 다른 정점은 신승훈의 "그후로 오랬동안"이다.) 1995년 당시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 "천일동안" 같은 곡을 이해하려면 적어도 20대는 되어야하지 않던가? 10대가 좋아할 만한 곡도, 이해할 수 있는 곡도 아니었다. 물론 지금 입장에서는 오히려 생각보다 괜찮다고 느낀다. 그러나 이는 지금보니 곡의 가사가 좋다는 뜻이 아니다. 아래 곡의 가사에서 주목할 지점은 단 한군데다. 마지막 구절 "다음 세상에서라도 우리 다시는 만나지 말아요"가 없다면 이 곡의 가.. 2022. 12. 14.
앨런 튜링, 튜링머신, 인공지능 앨런 튜링(Alan Turing)을 공부하다보면 컴퓨터 공학이라는 것이 얼마나 기계적이며 노가다와 같은 과정을 요구하는지 추정해볼 수 있다. 물론 앨런 튜링은 컴퓨터 공학자가 아니라 수학자였다. 그러나 알다시피 컴퓨터 공학은 20세기 초중반 수학으로부터 파생되어나왔다. 수학자들의 작업이 없었다면 컴퓨터 공학은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수학자 알론조 처치(Alonzo Church)의 제자였던 스테픈 클레이니(Stephen Kleene)의 작업을 보면 그 파생의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짐작해볼 수 있다. 그가 학과장으로 있었던 대학(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의 학과는 최초 '수 분석과'(the Department of Numerical Analysis)라 불렸다. 해당 과가.. 2022. 11. 16.
배비지: 컴퓨터의 아버지 혹은 철 없는 아이 분석학회(the Analytical Society)의 설립자로 알려진 찰스 배비지(Charles Babbage)라는 19세기 영국의 수학자에 대해 좀 이야기해보자. 요점은 당시 수학자가 단순히 수학만 하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보는 데 있다. 뉴턴 이후 수학이 '물리학의 언어'가 되었다는 점을 기억하라. 수학으로 물리 현상을 이해하게 되면 물리적 현실에 개입하고 싶어지는 법이다. 배비지가 발명가이기도 했다는 사실이 이와 조금 관련이 있을지 모른다. 그는 애디슨처럼 발명품을 많이 만들었다. 그의 발명품 중에는 기차 앞으로 달려드는 소를 잡기 위한 장치도 있었다. 이는 그가 순수수학만 한 것이 아니라 응용 수학자이기도 했다는 뜻이다. 물론 배비지의 분석학회는 수학의 영역에서 영국의 전통인 뉴턴의 미분법을 버리고.. 2022. 11. 9.
도올, 안병무, 민중신학, 유학, 그리고 자연과학 도올은 기독교 관련 강연을 할 때 가장 빛이 난다. 이는 그의 철학적 궤적이 서구 기독교 신학에서 시작해서 자신의 한국적 정체성을 찾아가는 방향으로 진행됐기 때문이다. 거꾸로 말하면 그의 동양철학 독해는 의외로 순수하게 동양적이지 않다. 그가 동양철학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알게 모르게 서양철학에 대한 자의식이 전제되어있다. 그가 지닌 서양철학에 대한 자의식은, 아래 강연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듯, 안병무나 정약용이 했던 고민과 궤를 같이 한다. 어째서 그가 기회만 되면 강연 중에 '서양철학은 구라'라고 끊임없이 '까는지' 생각해보라. 이는 조선시대 기독교와 조우한 유학의 운명이 그러했듯 정약용 시대에 이미 시작된 자의식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달리 조선에서 순수한 의미의 동양철학을 하는 것이 이미 18.. 2022. 10. 26.
뮤직 큐레이터와 음악다방 DJ (feat. 괴테, 박찬욱) 유튜브가 음악을 듣는 주된 창구의 하나가 되면서 만들어진 새로운 직종(?)은 '뮤직 큐레이터'다. 뮤직 큐레이터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전에 오늘날 유행하는 작명법에 대해 좀 이야기해보자. 한 예로, 근래 새 직종은 거의 영어로 칭해진다. 이유는 단순하다. 그래야 그럴싸해보이기 때문이다. 한국인 입장에 영어는 단절을 의미한다. 전통과의 단절 말이다. 20세기 이전에 한국인 입장에 영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 언어였다. 적어도 20세기 초까지 한국인의 삶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영어는 없었다. 영어로 새 직종을 묘사하게 되면 마치 전례 없던 직종이 생긴 것 같이 느끼게 되는 이유가 여기 있다. 한국인에게 영어는 맥락에서 벗어난 형이상학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생물학자라면 좀 다른 생각을 할 것이다. 생.. 2022. 10. 19.
자기계발, 주디스 버틀러, 공짜 유튜브에는 별의별 영상이 다 있다. 최근에는 '자기계발'이라는 키워드를 제목으로 단 영상에 주디스 버틀러의 사진이 덧붙여진 것을 하나 봤다. 세상에, 주디스 버틀러와 자기계발이 대체 무슨 관계가 있다는 거지? 언제부터 버틀러가 자기계발 담론가가 된 거지? 궁금해서 클릭해봤다. 시작은 이상하게도 돈 안들이고 자기계발하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였다. 자기계발, 버틀러, 공짜, 대체 이 키워드의 조합은 무엇이란 말인가? 그러나 놀랍게도 이 모든 키워드는 연결됐다. 무슨 말인고 하니, 자기계발에 필요한 요소가 교양인데, 교양인이 되기 위해선 여러 석학들의 말을 들을 필요가 있고, 주디스 버틀러는 세계적 석학의 하나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공짜' 요소는 어디에 있느냐? 석학들의 강의를 EBS에서 시리즈로 기획을 해서.. 2022. 10. 12.
쓰레시 메탈과 쇼츠 쓰레시 메탈 음악의 특징 중 하나는 '대곡'에 대한 열망을 지니고 있다는 데 있다. 아래 메탈리카의 [로드](Load)를 예로 들면 거의 10분에 육박하는 "The Outlaw Torn"이나 8분이 넘어가는 "Bleeding Me"가 대표적이다. 앨범 전체 길이도 80분에 달한다. 메탈리카의 가장 야심작이라 할 수 있는 1988년작 [앤저스티스포올](. . . And Justice for All)에는 6분 이상되는 곡이 3곡, 7분 이상되는 곡이 2곡, 9분 이상되는 곡이 2곡이나 된다. 길이에 있어 메탈의 정서는 가히 서사시적이다. 세계 전체에 대한 조망을 해보이겠다는 야심이 메탈의 세계관이라 말해볼 수 있다. 메탈 음악은 서정성과는 거리가 멀다. 예컨대, 2-3분 짜리 발라드 사랑 노래를 쓰레시 메탈.. 2022.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