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233

NEU!, "Hallogallo" 영미권에 비해 독일은 록음악의 나라로 기억되지는 않는다.* 해외에서 생각하는 독일 팝음악의 기본 인상은 전자음악에 있다. 그것도 실험적인 전자음악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는 1960년대 말 시작된 크라우트록으로부터 시작한다. (물론 전후 독일 내에서 크라우트록은 주류 음악이 아니었다. 주류 음악은 '슐라거'라 불리는 '이지 리스닝'류의 음악이었다. 크라우트록은 인디 음악과 같다.) 크라우트록도 록이기는 하다. 1960년대 영미권 록음악의 영향을 받은 게 맞다. 그러나 그 모습은 좀 다르다. 아래 노이의 곡을 들어보면 알겠지만 1960년대 영미권 사이키델리아가 독일식으로 번역되면 최면술적 비트 기반 음악으로 변하게 된다. 이를 '모터릭 비트'라 한다. 기계 모터의 그 모터가 맞다. 이 기계적 리듬은 사.. 2025. 8. 22.
Elvis Presley, "Hound Dog" 엘비스 프레슬리는 흔히 록앤롤의 왕이라 불린다. 이 칭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대의 맥락을 좀 봐야한다. 아래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그는 지금 보아도 놀라운 '끼'를 보여준다. 1956년에 모두가 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나와 관중을 들어다 놓았다 하고 또 몸을 저렇게 과감하게 놀리는 백인 청년의 모습은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이는 거의 충격적인 일이었다. 10대들은 열광했지만 나머지 세대는 그에게서 천박함의 극치를 발견했다. 언론이 그에게 붙인 별명이 "엘비스 '펠비스' 프레슬리"였다는 점이 이를 잘 보여준다. '펠비스'는 '골반'을 뜻한다. 골반을 하도 흔들어댄다고 해서 붙인 별명이다. 물론 '골반 흔들기'는 섹스 행위를 연상케 한다. 사실 '록 앤 롤'이라는 말 자체가 성 행위시 일어나는 동작을 .. 2025. 8. 15.
Muddy Waters, "Mannish Boy" 머디 워터스의 음악을 듣는 순간 '대단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처음 듣는 곡인데도 말이다. 어째서 그럴까? 록 음악을 기반으로 팝을 들어온 사람만이 느끼는 감정일 것이라고 추정한다. 록에 관심이 없으면 잘 느끼지 못할 수 있다는 뜻이다. 데이빗 보위가 여러차례 지적했듯 록 음악의 뿌리에는 흑인 음악, 즉 리듬 앤 블루즈가 있다. 록에 익숙한 사람 입장에서 머디 워터스를 들으면 그의 음악에 록의 원형적 감수성이 진하게 흐르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심지어는 '이게 진짜구나'라는 느낌까지 받게 된다. 리듬과 블루즈가 없는 음악은 록이라고 할 수 없다. 아래 "매니시 보이"는 1977년도 녹음이다. 최초 녹음은 1955년에 이루어졌었다. --Hard Again (1977) 2025. 8. 8.
Jimi Hendrix, "Machine Gun, Live at Filmore East, 1970" 2019년에 발매된 지미 핸드릭스의 라이브 공연 녹음이다. 1970년 필모어 이스트에서 있었던 공연 녹음을 담은 박스셋으로 알고 있다. 1970년이면 핸드릭스가 죽기 얼마 전이다. 녹음 상태가 아주 훌륭하다. 연주 또한 훌륭하다. 백인 록이 흑인 리듬앤블루스 전통으로부터 이미 상당 부분 분기되어 나오고 있었던 1960년대 말 1970년경을 기준으로 핸드릭스의 음악은 그 둘 사이의 관계를 멋지게 포착해내는 징검다리와 같다. 사실 리듬앤블루스가 빠진 록은 김빠진 맥주와 같다.--Hendrix: Songs for Groovy Children, The Filmore East Concerts (2019) 2025. 7. 31.
Pearl Jam, Pinkpop 1992 펄잼의 공연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아닐까 싶다. 1992년 에디 베더의 모습은 거의 광기에 차 있다. 그는 마치 지금 이 무대가 자신의 유일한 무대이며 더 이상은 기회가 없을 듯이 노래를 부른다. 지금 이 무대에 오름으로써 원하던 모든 것이 달성되었다는 듯이 노래를 부른다. 간절함의 표현이라고 말하기엔 형식 파괴적 힘이 느껴지고, 형식이 없다고 말하기엔 물이 흐르듯 노래가 쏟아져나온다. 육체적 감정과 리듬이 의미의 형태로 승화가 되지 않은 채 쏟아져나온다. 그렇다고 혼돈의 상태로 빠지는 것까지는 아니다. 되어짐(becoming)과 됨(being)의 경계선상에 있는 모습이다. 1993년 그래미 하드록 공연 부분 상을 받았을 때 에디 베더가 남긴 수상 소감도 같은 맥락 속에 있다. 그는 '우린 그저 긴장감 .. 2025. 7. 17.
Robert Glasper, "Enoch's Meditation" 방학이 되어서 좋은 것은 사람을 만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길거리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 길거리에 나가면 늘 우발적인 방식으로 낯선 이들이 품은 증오의 흔적들과 조우하게 된다. 다른 한편, 익명의 사람들도 문제지만 반익명의 사람들, 아는 사람이지만 크게 가깝지는 않은 사람들을 만나는 것도 피곤한 일이다. 방학이 되면 이런 것도 최소화된다. 건강을 회복한다는 것은 우연적 요소와 조우하는 것을 피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우발적 조우는 세계-내-존재로서 살아가며 얻게 되는 피드백과 같다. 많은 경우 피드백은 건강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너무 많이 그리고 너무 자주 피드백을 받게 되면 오히려 건강을 상하게 된다. 예컨대, 방학 때는 피드백으로부터 자유로워야한다. 방학 중에는 사람을 만나는 일, 전화를 하는 일.. 2025. 7. 4.
사우론의 입,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사우론의 입이란 인물은 감독판에만 등장한다. 개인적으로 에서 가장 끔찍한 악당으로 기억한다. 사우론의 입은 사우론의 대변인이다. 얼굴에서 맨 모습이 드러난 부분은 입 밖에 없다. 나머지는 전부 금속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정체를 파악할 수 없는 존재다. 그러나 유일하게 드러난 부분인 입 부위는 썩어가는 살점의 느낌을 낸다. 원래는 열릴 수 없으나 무엇인가에 의해 찢어진 모습의 입이 말을 하기 위해 한번 열리면 금속으로 싸인 이빨이 드러난다. 금속성의 이빨이 그 자신의 살점을 찢으며 말을 하는 식이라 보면 된다. 눈이 없기에 스스로 보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사우론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을 뿐이다. 그가 내뱉는 생각과 감정은 살인자의 언어와 같다. 모든 희망을 앗아가는 언어, 듣는 사람을 살해하.. 2025. 5. 24.
Djrum, <Under Tangled Silence> 수업이 끝나고 나가려는데 학생 두 명이 기다리고 있다가 초콜릿을 들이밀었다. 스승의 날이라서 준비했다 한다. 딱히 '스승'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 없어서 약간 당혹스러웠다. '스승과 제자'라 하면 훨씬 더 깊은 배려 속에서 삶의 가치를 공유하는 관계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내가 그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그보다는 훨씬 더 기술적인 측면이 더 강한지라 그 말이 쑥스럽게 느껴졌다. 마음을 전달하고자 했다는 것, 그게 그저 고마웠다. 이 친구들은 음대 학생들이다. 학급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는 학생들은 아니다. 그래도 종종 와서 이것저것 물어오는 등 수업에 성의를 다한다. 누군가는 성적을 잘 받고 싶어서 그러는 것이라 말할지도 모르겠다. 물론 그런 마음이 하나도 없다고 말하면 거짓말일 것이다. 그러나.. 2025. 5. 17.
Jefre Cantu-Ledesma, [Gift Songs] 전부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문학 전공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적지 않은 수의 학생들이 암묵적으로 지니고 있는 학습 방법에 이질감을 느끼게 된다. 이들은 공부에 있어 기본적으로 기계적으로 학습해야할 개념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모습이다. 암기식 교육은 하찮은 것, 비인문적인 것, 가치 없는 것이라고 느낀다. 반대로 개념적 사고를 트레이닝하지 않고 직접 상상력의 세계에 직관적으로 뛰어드는 것만으로 모든 게 해결되는 줄 안다. 그게 인문학인 줄 안다. 과장해서 말하자면, 문학을 공부하는 것을 손쉽게 '구라'를 늘어놓는 것 정도로 여기는 면이 있다. 이들에게서는 수업 중 나온 개념을 공부도 하지 않은 채 답을 쓸 수 있을 것이라 믿는 어리석음과 오만함이 동시에 느껴진다. 교실에서 토론식 수업을 진행할 때면 강의.. 2025. 4. 27.